자신이 개발자를 준비중이라면,

 

\(O(n^2)\) : 버블 정렬, 삽입 정렬, 선택 정렬

\(O(nlogn)\) : 힙 정렬(Heap Sort), 병합 정렬(Merge Sort), 퀵 정렬(Quick Sort) 

 

정도는 스스로 구현할 줄 알아야 한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알고리즘 문제를 해결할 때마다 구현하는 것은 굉장한 시간 낭비일 것입니다. 따라서 저는 algorithm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sort함수를 사용하여 12단계의 문제들을 해결할 예정입니다.

 

제가 올리는 글에선 sort함수 사용방법을 배우시고, 만약 위에 언급된 6개 정렬 중 모르는 것이 있다면 꼭 공부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백준에서 제공하는 일반적인 알고리즘 문제에선 sort 함수로도 충분히 통과가 가능하지만, 삼성 B형 테스트와 같이 메모리와 시간 최적화가 필요한 문제들은 스스로 정렬 알고리즘을 구현할 줄 알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시간이 허락한다면, 저도 제가 구현한 코드를 사용하여 문제들을 해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BOJ_단계별로 풀어보기(9단계~) > [11단계] 정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108] 통계학  (0) 2022.03.08
[백준 10989] 수 정렬하기 3  (0) 2022.03.08
[백준 2751] 수 정렬하기 2  (0) 2022.03.08
[백준 2750] 수 정렬하기  (0) 2022.03.08
C++ Sort함수  (0) 2022.03.08

+ Recent posts